hyndb
[리눅스] 7장 연습문제 본문
01) 다음 중 윈도용 USB 메모리를 마운트하기 위한 명령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mount -t ext3 /dev/sdbl /mnt ② mount -t xfs /dev/sdbl /mnt
③ mount -t vfat /dev/sdbl /mnt ④ mount -t iso9660 /dev/sdbl /mnt
답: 3번
02) 시스템에 설치된 전체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보기 위한 명령은 무엇인가?
① fdisk – a ② fdisk -v ③ fdisk -I ④ fdisk – d
답: 2번
03) 다음 중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으로 옳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mkfs -t ext3 /dev/sdbl ② mke2fs -t ext3 /dev/sdbl
③ mkfs.ext3 /dev/sdbl ④ mke2fs.ext3 /dev/sdbl
답: 4
04) 파일 시스템에서 백업 슈퍼블록의 위치를 파악하려면 어떤 명령을 사용해야 하는가?
① badblocks ② dumpe2fs ③ df ④ fsck -f
답: 2번
05) 다음 중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proc ② ext ③ ext4 ④ xfs
답: 1번
06) 디스크를 새로 장착하고 사용하기 위한 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디스크 파티션 생성 -> 디스크 마운트 -> 디스크 포맷
② 디스크 파티션 생성 -> 디스크 포맷 -> 디스크 마운트
③ 디스크 마운트 -> 디스크 파티션 생성 -> 디스크 포맷
④ 디스크 포맷 -> 디스크 파티션 생성 -> 디스크 마운트
답: 2번
07) 부팅할 때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은 무엇인가?
① /etc/mtab ② /etc/mount ③ /etc/fstab ④/etc/ftab
답: 3번
08)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과 가상 파일 시스템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답: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은 디스크에서 생성되어 사용되며, 물리적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영구 저장한다. ext 파일 시스템으로 알려진 리눅스 고유의 시스템이 있다. 가상 파일 시스템은 디스크가 아니라 메모리에서 생성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가상 파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특수 용도여서 필요에 따라 생기거나 없어진다.
09) 유닉스에서 유래된 파일 시스템의 공통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답: 파일은 inode로 관리되며, 디렉토리는 단순히 파일의 목록을 가지고 있는 파일일 뿐이다. 또한 특수 파일을 통해 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
10) 블록 그룹 0에서 그룹 0 패딩의 용도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답: 블록 그룹 0의 첫 1024B는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x86 부트 섹터와 부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11) 블록 그룹 0 외에 다른 일부 그룹에 슈퍼블록이 있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답 슈퍼 블록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기에 다른 블록 그룹에 슈퍼블록을 복사해놓고, 블록 그룹 0의 슈퍼블록을 읽을 수 없는 경우 복사본을 사용하여 복구한다.
12) inode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답: 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 블록에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한다. ls -l 출력시 나오는 정보들이 저장된다.
13) inode에서 직접 블록과 간접 블록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답: 직접 블록은 데이터 블록에 대한 주소를 직접 가지고 있고, 간접 블록에는 데이터 블록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는 블록의 주소가 저장된다.
14) 마운트 포인트에 대해 설명하시오.
답: 디렉터리 계층 구조에서 파일 시스템이 연결되는 디렉토리가 마운트 포인트, 디렉토리가 마운트되어야 사용자가 해당 디렉토리의 내용을 볼 수 있다.
15) 부팅할 때 /etc/fstab에 설정된 파일 시스템 점검 순서를 어떻게 지정하는지 설명하시오.
답: 마지막 항목으로 0, 1, 2 중 하나 지정/ 0은 부팅할 때, 1은 루트 파일 시스템을, 2는 루트 파일 시스템 이외의 파일 시스템을 의미한다.
16) CD-ROM을 /cdrom 디렉터리에 마운트하는 명령은 무엇인가?
답: sudo mount -t iso9660 /dev/cdrom /mnt/cdrom
17) 윈도에서 사용하던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리눅스 시스템에 복사하려고 한다. 어떤 순서로 작업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답: 1) usb 메모리를 리눅스 시스템에 인식 2) usb 메모리의 장치명 확인 3) usb 메모리 마운트 4) usb 메모리 사용 가능 5) 사용 후 umount로 마운트 해제
18) 시스템에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설치했는데 이 디스크의 장치명은 /dev/sde다. 이 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하는 절차를 설명하시오.
답: 1) sudo fdisk /dev/sde (디스크 파티션 나누기)
2) 새로운 파티션 생성: n 눌러서 새로운 파티션 생성, p 눌러서 기본 파티션 선택, 파티션 번호 선택, 파티션 크기 설정(엔터), w 눌러서 변경 사항 저장하고 종료
3) 파일 시스템 생성: sudo mkfs.ext4 /dev/sde1
4) 마운트 포인트 생성(mnt/hdd1 디렉토리를 예로 듦): sudo mkdir /mnt/hdd1
5) 파일 시스템 마운트 sudo mount /dev/sde1 /mnt/hdd1
19) 하드디스크를 여러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답: 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도 있다.
20)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은 무엇인가?
답: sudo mkfs /dev/sdb1, sudo mkfs.ext4 /dev/sdb1, sudo mke2fs -t ext4 /dev/sdb1 => mkfs, mk2fs 명령으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21) 다음 그림과 같이 /mnt 아래에 a.txt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dev/sda2 파일 시스템을 /mnt에 마운트하고 Is /mnt 명령을 수행했더니 b.txt 파일만 보인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답: a.txt 파일과 b.txt 파일이 위치하는 파일 시스템이 다르다. a.txt는 /dev/sda1에 위치하고, b.txt는 /dev/sda2에 위치한다.
22) LVM과 같은 기능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답: 파티션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관리 도구로, 한 파티션의 용량이 부족할 때 다른 파티션으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용량이 부족할 때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LVM 기능은 필요하다.
23) 기존 파일 시스템을 LVM으로 생성하고 마운트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답: 1) LVM 생성: sudo apt install lvm2
2) 파일 시스템 종류 변경: sudo fdisk /dev/sdb -> t -> w로 저장
3) /dev/sdb1, /dev/sdb2에 PV 생성: sudo pvcreate /dev/sdb1, sudo pvcreate /dev/sdb2
4) pvscan 명령으로 PV 상태 확인: sudo pvscan
5) 두 PV 통합하여 VG 생성: sudo vgcreate grp1 /dev/sdb1 /dev/sdb2
6) 생성된 VG grp1 활성화: sudo vgchange -a y grp1
7) 활성화된 VG grp1의 상태 확인: sudo vgdisplay -v grp1
8) 모든 VG grp1의 PE 합하여 하나의 LV 생성: sudo lvcreate 0l 248 grp1 -n mvlvm1 => sudo lvscan
9) LV mylvm1에 ext4 파일 시스템 생성: sudo mke2fs -t ext4 /dev/grp1/mylvm1 => sudo vgdisplay -v grp1
10) LV를 /mnt/lvm 디렉터리에 마운트 하고 파일 복사: sudo mkdir /mnt/lvm => sudo mount /dev/grp1/mylvm1 /mnt/lvm => sudo cp /etc/hosts /mnt/lvm
24) guest 계정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답: sudo du -s ~guest
25) /dev/sdd2 파일 시스템에서 슈퍼블록의 위치를 검색했더니 다음과 같았다. 기본 슈퍼블록에문제가 있을 때 어떻게 복구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답: sudo e2 fsk -b 8194 -y/dev/sdd2
'리눅스 > 연습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5장 연습문제 (0) | 2024.05.06 |
---|---|
[리눅스] 3장 연습문제 (0) | 2024.04.16 |